728x90 전체 글12 크리스털(Crystals)의 시험 크리스털(Crystals)의 시험 크리스털(Crystals) 이란 ? 크리스털이란 수정진동자라고 하며 안정된 주파수를 유지하거나 규칙적인 신호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또 발진회로를 따로 구성해서 사용해야한다. 오실레이터(OSC)라고 하는 발진기소자도 존재하는데 이는 발진회로를 따로 구성할 필요가 없다. 크리스털은 컴퓨터, 모니터, TV,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비에서 사용되는데 주파수 생성을 멈추거나 펄스가 일정하지 않으면 전자 장비에 간헐적인 문제가 나타나거나 작동이 중지 될 수 있다. 크리스털의 주파수는 부품에 표시되어 있으며, 위치는 보통 XTAL 또는 X로 표시되어 있다.(ex:X1) 또 대표적인 주파수로 4MHz, 8MHz, 16MHz 등이 사용되며 심볼과 생김새는 아래와 같다.. 2020. 11. 25. 저항의 이해 저항이란? 저항이란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로, 전류가 흐르는 걸 방해하여 흐르는 전류량을 제한한다. 물질의 내부의 자유전자가 이동하게 되면 전자는 전기적 성질을 갖게 되므로, 전류의 흐름이 생긴다. 이 자유전자들은 물질의 내부를 구성하는 원자들 사이를 이동해야 되는데 이 때, 원자와 자유전자가 출동하여 운동을 방해받는다. 이러한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저항(Resistance)이라 하고, 회로도에서 사용하는 저항의 기호는 다음과 같다. 물질의 전기저항은 물질의 종류, 전선의 단면적, 전선의 길이, 온도 등에 의하여 차이가 생기게 된다. 또한 전자의 이동의 차이로 인해, 같은 물질이라도 단면적의 크기가 클수록 전자의 이동 공간이 커져 저항은 적게 되고, 길이가 길수록 전자가 이동하는 시간이 많이.. 2020. 11. 24. 커패시터의 시험 커패시터의 시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몇 가지의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현재 아날로그 멀티미터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 디지털 멀티미터(DMM)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번에는 커패시터 측정 원리와 여러 측정방법, 시험방법 대해서 알아본다. 1.디지털 멀티미터의 커패시턴스 측정 일반 디지털 멀티미터 측정 방법 일반 디지털 멀티미터인 Agilent 34410A로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Agilent 34410A의 오차율은 5%이며, 커패시터의 오차율은 M급 20%이다.) ① Power 버튼을 눌러 전원을 킨다. ② Shift를 누른 후 좌측 하단에 커패시터 심볼 아래 버튼(Freq)을 누른다. ③ 오른쪽 Hi, LO 커넥터에 프로브를 연결한다.. 2020. 11. 19. 커패시터를 안전하게 방전시키기 커패시터를 안전하게 방전시키는 방법 커패시터가 충전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지 않으면 자연방전이 진행되며 커패시터의 용량이 클수록 자연방전에 걸리는 시간이 늘어난다. 충전된 전하가 모두 방전되기 전에 작업을 하다 쇼트가 발생하면 많은 전류가 흘러 다른 부품을 소손시키거나 감전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커패시터가 충전된 상태일 때 인위적으로 방전시킬 필요가 있다. 흔히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커패시터의 +단자와 –단자를 쇼트 시키지만 이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커패시터를 쇼트 시키면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다른 부품을 소손시킬 가능성이 높다. 커패시터를 안전하게 방전시키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커패시터의 부하에 맞는 저항으로 커패시터의 에너지를 소비시키는 방법이다.. 2020. 11. 19. 커패시터(콘덴서)의 이해 커패시터의 이해 커패시터(콘덴서)란 ? 커패시터는 전하(전기)를 충전하는 부품으로 극성을 갖는 두 금속판이 존재하며 그 사이가 유전체(절연체)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기본 형태이다. 커패시터는 극성이 없는 커패시터와 +, -극성이 존재하는 커패시터로 나누어진다. 극성이 있는 커패시터는 오른쪽의 휘어진 극성이 –이고 반대가 +이다. 커패시터 양단에 전압이 걸리면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한 쪽 금속판에는 Q+ 전하가 저장되고 반대쪽 판에는 Q- 전하가 저장된다. 그렇게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소자가 커패시터이다. 커패시터가 전하를 충전할 수 있는 능력을 정전용량 혹은 커패시턴스라고하며 기호는 C 이다. 단위는 페럿(Farad)[F]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충전되는 전하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양이다. 보통 피코 페럿.. 2020. 11. 19. 다이오드 란? - 정류(일반) 다이오드 특성의 이해 및 측정 다이오드 시험 다이오드란? 다이오드란 전압을 일정한 방향으로 인가했을때만 전류가 흐르는 정류작용을 하는 2단자 반도체이다. 주로 전류를 한 쪽 방향으로 흐르게 하고, 역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다이오드의 용도는 전원장치에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바꾸는 정류기로서의 용도, 라디오의 고주파에서 꺼내는 검파용 전류의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칭 용도등 다양하게 쓰인다. 다이오드의 종류 및 기호 다이오드 종류 기호 특징 정류(일반) 다이오드 가장 기본적이고 범용적인 PN접합 다이오드. 정류작용을 하거나, 역전류를 방지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로 많이 사용됨. 제너 다이오드 정전압 다이오드로, 역방향에서 전류가 변화하여도 전압이 일정한 제너 항복 현상을 이용하여 정전압 회.. 2020. 10. 28. 이전 1 2 다음 728x90